un/folding

컵케이크와치와와

홍성화 기획

2023. 10. 17 — 10. 29


조주현과 유지영으로 이루어진 컵케이크와치와와는 가분체적 데이터로 변환되는 몸(body)과 그에 편입되지 못하는 유기적 몸(soma)을 교차해봄으로써 몸의 ‘움직임’에 관한 여러 층위를 다시 생각해보는 작업을 전개하고 있다.
〈un/folding〉에서 컵케이크와치와와는 벨트스크롤 게임의 고전인 ‘골든 액스’를 다시 플레이해보고 이를 퍼포먼스로 재현한다. x, y, z축으로 구성되는 게임의 공간에서 제한된 게임 캐릭터의 움직임과 공간을 바라보는 시점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는데, 컵케이크와치와와는 게임플레이를 퍼포먼스로 재현하고 기록하는 과정을 일종의 번역으로 간주하고, 그 과정에서의 불가피한 불일치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Cupcake and Chihuahua, a collective by Cho Juhyun and Yoo Jiyoung, is rethinking the various layers of the body’s ‘movement’ by intersecting ‘the body’ that is converted into dividual data and the organic ‘soma’ that cannot be incorporated into it.
In 𝒖𝒏/𝒇𝒐𝒍𝒅𝒊𝒏𝒈, Cupcake and Chihuahua revisits the classic belt-scrolling game ‘Golden Axe’ and represents it as a performance. In the game’s space, composed of the x, y, and z axes, they explore the limited movement of the game’s characters and how it changes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from which they view the space. Cupcake and Chihuahua considers the process of representing and recording gameplay as a performance as a kind of translation,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discovering new meaning through the inevitable discrepancies in the process.


실행하는 손, 떨어지는 몸

 

아케이드 게임이 부흥하던, 그리고 콘솔 게임기들 간 격차가 크던 시기에 원작 게임이 아케이드 머신과 콘솔 게임기 간, 콘솔 게임기와 콘솔 게임기 간에 어떻게 ‘이식’되는가는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였다. 기기와 기기의 기술 격차나 호환성 등 여러 이유로 이식작이 원작과 비슷한 분위기만 유지하면서 매우 다른 게임으로 변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하드웨어마다 출력할 수 있는 그래픽이나 사운드의 수준이 매우 달랐기 때문에 게임을 이식한다는 것은 단순히 같은 게임을 다른 기기에서 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기보다는 하드웨어적 조건에 맞게 게임을 변용하는 것에 가까웠다. 이식작들은 상이하고 제한된 조건 내에서 원작 게임을 구현하고자 했고,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나름의 개성을 갖고 출시되었다.

〈un/folding〉에서 퍼포머들은 ‘골든 액스(Golden Axe)’라는 고전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진행형 격투 게임, Beat’em up)을 플레이하고 화면 기록을 퍼포먼스로 재현하였다. 골든 액스는 세가(SEGA)에서 1989년 아케이드용으로 우선 출시했던 게임이다. 이 게임은 각종 하드웨어로 이식되었는데, 이번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것은 가장 먼저 이식된 메가 드라이브(Mega Drive) 버전이다. 진행형 격투 게임의 특성상 계속해서 나타나는 공격 대상을 격파하지 않으면 플레이가 전개되지 않게끔 유도되기 때문에 플레이어-퍼포머는 원하는 동작만을 행할 수 없고 계속해서 전진하며 액션을 취하게 된다. 즉각적으로 입력되는 조작은 기록되어 퍼포머들 스스로에게 일종의 지시문으로 사용되고, 퍼포머들 각자의 실제 몸동작으로 상이하게 변용된다. 여기서의 ‘변용’이란 퍼포머의 의식적인 재해석으로도 이루어지지만, 각각의 신체적 조건 등 여러 개별성에 따른 필연적인 비동일성 모두를 포괄하는 표현이다.

게임에서 ‘움직임’이란 결국 그것이 제공하려는 특정한 행위성, 또는 가용한 하드웨어적 리소스와 조작 체계라는 제약, 나아가 재현하려는 대상에 대한 인식 등 여러 범주의 조건에 따른 불가피한 변용을 거쳐 우리에게 주어진다. 게임 개발과 하드웨어적 조건이 표준화된 오늘날이지만, 여전히 현실과 가상은 ‘이식’이라는 낡은 표현이 어울리는 낙차 속에 공존하고 있다. 〈un/folding〉에서 플레이어-퍼포머의 손을 떠난 동작들은 실제의 공간과 몸으로 ‘이식’되고, 우리는 재현 대상에서 떨어져 나온 공간과 신체를 통하여 새로운 결과값을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재현인 동시에, 미리 기록된 게임 내 퍼포먼스를 그 바깥에서 ‘재연’하는 한 방식이기도 하다. 여기서 접히는 것과 펼쳐지는 것은 무엇일까? 〈un/folding〉은 재현과 재연, 실연과 기록의 경계가 퇴색된 현재의 지평에서 라이브 퍼포먼스란 무엇일 수 있는가를 되묻고 있다.


Hands to Control, Body to Move Away

 

At a time when arcade gaming was on the rise and the gap between consoles was wide, it was an important and difficult problem to figure out how to “port” original games from arcade machines to consoles, and from consoles to arcade machines. For a variety of reasons, including hardware and technology gaps and compatibility, ported games often end up being very different games, with only a similar mood to the original. Different hardware can produce very different levels of graphics and sound, so porting a game is more about adapting the original game to suit the hardware than simply making the same game playable on different hardware. Ported games were recreations of the original game within different and limited conditions, and they came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s, both positive and negative.

In 𝒖𝒏/𝒇𝒐𝒍𝒅𝒊𝒏𝒈, performers played the classic belt-scrolling beat’em up Golden Axe and recreated the screen recordings as a performance. Golden Axe was originally released by SEGA in 1989 for arcades. The game has been ported to a variety of hardware, and the Mega Drive version, the first port released, was used in this project. The nature of beat’em up games is such that the play doesn’t progress unless you defeat the attackers that keep popping up, so the player-performer can’t just do what they want, they have to keep moving forward and taking action. The instantaneous movements of the controls are recorded and used as a sort of score for the performers themselves, which is then adapted into the actual movements of the performers. In this context, “adaptation” encompasses both the conscious reinterpretation of the performer and the inevitable non-identicality of their individuality, including their physical condition.

“Movement” in games is inevitably encapsulated by several categories of conditions, including the specific performativity the game is trying to provide, the constraints of available hardware resources and control schemes, and our perceptions of what the game is trying to represent. Even today, when game development and hardware conditions are standardized, the real and the virtual still coexist in a gap where the old word “port” fits. In 𝒖𝒏/𝒇𝒐𝒍𝒅𝒊𝒏𝒈, the actions that leave the hands of the player-performer are “ported” to real spaces and bodies, and we encounter new outcomes through spaces and bodies that are removed from what is being represented. This is a representation, but it is also a way of ‘iterating’ a pre-recorded in-game performance outside of the game. What is folded and what is unfolded here? 𝒖𝒏/𝒇𝒐𝒍𝒅𝒊𝒏𝒈 asks what live performance can be in the current horizon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representation and iteration, live and documentation have faded.


unfolding
컵케이크와치와와(조주현, 유지영)

 

컵케이크와치와와는 지난 세 작품 ‘스크롤^다운’, ‘인코딩된 재생’, ‘팀에 합류하여 카드를 받으세요’에서 번역기의 오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제목을 지었다. 지금까지 말하지 않았던 제목 짓기 방식을 공유하는 이유는, 컵케이크와치와와가 주목하는 ‘미끄러지기’를 강조하고 이번 〈un/folding〉 준비 과정에서 ‘번역’을 중요 키워드로 염두에 둔 사실을 밝히고 싶었기 때문이다. 보다 자세히 말하자면, ‘번역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불일치’다.

〈un/folding〉은 2D 게임에서 출발했지만 그것을 옮겨내는 퍼포머의 몸은 그 자체로 3D이고 자의적이다. 즉, 오역이 생길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세 퍼포머는 물리적으로 온전한 수행이 불가능한 게임 캐릭터의 동작을 각자의 해석으로 번역하여 스코어를 만들었다. 이들은 시작과 끝 그리고 필살기의 동작만을 함께 공유한 채 각자가 번역한 퍼포먼스를 실현한다. 이 과정에서 게임의 맥락은 탈구된 채 퍼포머 개개인의 해석된 움직임만이 존재하게 된다.

게임은 플레이어의 진행 방향에 따라 공간이 펼쳐진다. 퍼포먼스는 개별 관객의 시선에 따라 각자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번 퍼포먼스에서는 관객의 주체적인 관람과 자리 이동을 요구한다. 세 공간성으로 구성된 퍼포먼스와 공간을 제한하는 구조물을 통해 관객 각자의 플레이를 실행하기를 기대한다.

주현과 지영은 함께 작업한다. 제안을 주고 받으며 대화를 통해 안무를 구체화해나간다. 지영은 안무를 만든다. 퍼포머들은 안무가의 의도를 파악하고 움직임을 만든다. 주현은 개입한다. 주현은 다시 안무를 생각하며 무빙 이미지를 만든다. 무빙 이미지는 안무의 시작점이 되기도(스크롤^다운), 안무와 나란히 놓이기도(인코딩된 재생), 안무의 시간성 너머 다른 곳으로 확장되기도(팀에 합류하여 카드를 받으세요) 한다. 움직임과 이미지는 서로를 지시하고 서로에게 개입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매체의 태생적 이유 때문에 이식할 수 없는, 사라지는 것들을 한껏 껴안는다.


unfolding
Cupcake and Chihuahua (Cho Juhyun, Yoo Jiyoung)

 

In our last three works, ‘Scroll^Down,’ ‘Encoded Play,’ and ‘Join the Team and Receive Your Card,’ we actively utilized translator mistranslations to create titles. The reason we’re sharing this untold story is to emphasize the “sliding” that Cupcake and Chihuahua focuses on and to reveal that “translation” was an important keyword in our preparation for 𝒖𝒏/𝒇𝒐𝒍𝒅𝒊𝒏𝒈. More specifically, we want to address the “discrepancies that inevitably occur in translation”.

Even though 𝒖𝒏/𝒇𝒐𝒍𝒅𝒊𝒏𝒈 originates from a 2D game, the bodies of the performers who translate it are 3D and arbitrary, which means that mistranslations are bound to happen. The three performers created the score by translating their own interpretations of the game character’s movements, which are physically impossible to perform perfectly. Sharing only the beginning, the end, and the movements of special skills, the three performers execute their own translations. In this process, the context of the game is dislocated and only the interpreted movements of the individual performers exist.

In a game, the space unfolds according to the player’s direction of play. In 𝒖𝒏/𝒇𝒐𝒍𝒅𝒊𝒏𝒈, the space is formed according to the gaze of each individual audience member. In this performance, the audience is asked to actively watch and move their seats. The performance is composed of three spatialities and a structure that limits the space, and we expect each audience member to execute their own play.

Juhyun and Jiyoung work together. They exchange suggestions and develop their work through conversation. Jiyoung creates the choreography. The performers understand her intentions and create movements. Juhyun intervenes. Juhyun rethinks the choreography and creates the moving image. The moving image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the choreography (Scroll^Down), is placed alongside the choreography (Encoded Play), or extends beyond the temporality of the choreography (Join the Team and Receive Your Card). Movement and image refer and intervene in each other, and embrace the unable to port, the disappearing, for reasons inherent in their different mediums.


un/folding
컵케이크와치와와

움직임, 퍼포먼스   김용빈, 이종현, 이채은
기획   홍성화
음악   nok
촬영   삼인칭시점
사진   박민지
포스터   파카이파카이
주최, 주관   AlterSide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𝒖𝒏/𝒇𝒐𝒍𝒅𝒊𝒏𝒈
Cupcake and Chihuahua

Performers   Kim Yongbeen, Lee Jonghyeon, Lee Chaeeun
Organized by   Hong Seonghwa
Music   nok
Videographer   The Third Person Point
Photo   Park Minji
Poster   PacayPacay
Hosted by   AlterSide
Supported by   Arts Council Korea